티스토리 뷰
김포는 총면적 276,606㎡이며, 인구는 513,691명으로 2023년부터 대도시로 진입한 도시이다
위치는 경기도 서북부 한강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김포 국제공항에서 5분거리, 인천국제공항에서 30분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김포한강로를 이용하여 서울 여의도까지 20분이면 진입가능한 위치에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김포시가 어떠니도시니며, 서울편입 가능성과 장점과 단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김포시의 기본정보
서울 편입 가능성?
이번 서울 편입 대상으로 김포,구리,광명,하남등로 서울인접하고있는 생활권이 같은
기초단체를 대상으로 삼았다.
그러나, 과천의 경우 이미 지역번호도 02를 사용하고 있는 도시이고, 의정부 또한 서울로
이두 곳도 서울로 출퇴근 인구가 많아 편입 논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김포의 경우는 김포 석모리에 3기 신도시를 발표한 상태이며, 5호선 노선 연장건으로도
많이 회자되고 있는 곳이다 보니 가능성은 충분다고 생각됩니다.
지리적으로는 서울과 인접학였으나 기반시설이 부족한 지자체를 서울이 흡수하는것이 각 기초지자체의 입장에서는 아주 반가운 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하지만 5호선 연장문제도 지지부진하니 김포시민들의 바램이 이루어 질지는 조금 더 지켜뵈야
할것 같습니다.
김포시가 서울에 편입되었 경우 장점
서울편입으로 인한 지역 위상 상승 - 서울이라는 타이틀 만으로도 지역의 위상이 크게 올라
걸것이며, 부동산은 서울이냐 아니야처럼 부도산 시장에 큰영향을 미칠것이다.
제2한강신도시까지 추진할 정도로 토지가 많이 보유하고 있으니 서울로 편입된다면
주택부족문제에 커다란 이점이 되리라 생각된다.
김포시 입장에서도 서울로 편입되면 5호선 연장도 빨라질듯 합니다.
김포시가 서울에 편입되었 경우 단점
5호선 연장의 댓가로 차량기지와 건페장을 제시한 서울에서 김포시를 서울로 편입하면서
그냥 아무조건없이 해줄리는 만무하다고 생각이 됩니다.
현재 서울의 쓰레기 처리문제를 해결하기위해 김포시에 매립지를 제공해 줄것을 요구할것
으로 예상된다.
현재의 김포시는 청정지역 입니다만, 서울로 편입된다면 환경적인 부분에서는 영향을 받으리라 생각이 됩니다.
결론 -> 과연 김포가 서울로 편입되는 것이 맞는가의 문제는 단순히 하고싶다고 무조건 이루어질것을 아니라 생각됩니다.
김포시민의 한사람으로서 득과 실을 잘 따져봐서 결정하여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당장 이루어 질지는 의문이지만, 선거전 정치적 공약으로만 이용하는 이슈가 되지 않기를 바라는 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