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긴 추석연휴 기간 동안 가볼 만한 곳을 추천해 드리고 있습니다. 차도 막히는데 멀리 가지 않고 갈 수 있는 서울 종로 쪽 궁궐을 추천드립니다. 우리 건축물의 아름다움을 엿보수 있으며, 왕족들은 어떤 곳에서 지내셨는지도 엿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 생각됩니다.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에 위치안내와 운영시간, 요금안내등에 알려드립니다.

 

1) 창덕궁

추석연휴 가볼만한 곳
추석연휴 가볼만한 곳 - 창덕궁



주소 : 서울 종로구 율곡로 99 (3호선 안국역 3번 출구에서 381m)
운영시간 : 09시 ~ 17시30분 (월요일 휴무, 공휴일과 겹칠 경우 다음날 휴무)
대표전화 : 02-3668-2300

요금안내 
대인(만25세~만64세) ------ 3,000원
만 24세 이하청소년 ------------ 무료
만 65세 이상 어르신 ------------무료
외국인(만 7세~64세) --------3,000원
장애인, 유공자 ----------------무료
한복을 착용한 자 --------------무료

창덕궁관리소를 클릭하시면 예약사이트로 연결됩니다.






창덕궁은 북안산 왼쪽 봉우리인 응봉자락에 자리 잡고 있는 조선의 궁궐이다.
1405년(태종 5) 경복궁의 이궁으로 동쪽에 지어진 창덕궁은 이웃한 창경궁과 서로 다른 별개의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하나의 군역을 이루고 있어 조선 시대에는 이 두 궁궐을 형제궁궐이라 하여 "동궐"이라 불렀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으로 모든 궁궐이 소실되어 광해군 때에 재건된 창덕궁은 1867년
흥선대원군에 의해 경복궁이 중건되기 전까지 조선의 법둥 역할을 하였다. 또한 조선의 궁궐 중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임금들이 거처했던 궁궐이다.

경복궁의 주요 건물들이 좌우대칭의 일직선상으로 와의 권위를 상징한다면 창덕궁은 응봉자락의 지형에 따라 견물을 배차하여 한국 궁궐건축의 비정혀적 조형미를 대표하고 있다.
더불어 비원으로 잘 알려진 후원은 각 권역마다 정자, 연못, 괴석이 어우러진 왕실의 후원이 다. 현대 남아있는 조선의 궁궐 중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되어 있는 창덕궁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배치와 한국의 정서가 담겨있다는 점에서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2) 창경궁

추석연휴 가볼만한 곳
추석연휴 가볼만한 곳 - 창경궁

 

 

주소 : 서울 종로구 창경궁로 185 ( 4호선 혜화역 4번 출구 771m)
운영시간 : 09시 ~ 21시 (매주 월요일 휴무, 휴무일이 일요일인 경우 익일 휴무)
대표전화 : 02-762-4686
요금안내
요금안내 
대인(만25세~만64세) ------ 1,000원
만 24세 이하청소년 ------------ 무료
만 65세 이상 어르신 ------------무료
외국인(만 7세~64세) --------1,000원
외국인 만18세 이하 ----------- 무료
외국인 만65세 이상 ------------무링료
장애인, 유공자 --------------- 무료
한복을 착용한 자 --------------무료

창경궁관리소를 클릭하시면 예약사이트로 연결됩니다.

 



창경궁은 성종 14년(1483)에 세조비 정히 왕후, 예종비 안순왕후, 덕종비(추존왕) 소혜황후
세분의 대비를 모시기 위해 옛 수강궁터에 창건한 궁이다. 수강궁이란 세종 즉위년 14118년, 세종이 상왕으로 물러난 태종의 거처를 위해서 마련한 궁이다.

창경궁은 창덕궁와 연결되어 동권이라는 하나의 군역을 형성하면서, 독립적인 궁궐의 역할을 함과 동시에 창덕궁의 모자람 주거공간을 보충해 주는 역할을 하였다. 성종 때 창건된 창경궁은 선조 25년(15925) 임진왜란으로 모든 전각이 소실되었고, 광해군 8년(1616)에 재건되었다.
그러나 인조2년(1624) 이괄의 난과순조 30년(1830) 대화재로 인하여 내전이 소실되었다.
화재에서 살아남은 명정전,졍정문,홍화문은 17세기 조선시대 건축양식을 보여주며, 정전인 명정전은 조선왕국 번전 중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3) 덕수궁

 

 

 

추석연휴 가볼만한 곳
추석연휴 가볼만한 곳 -덕수궁

주소 : 서울 중구 세종대로 99 덕수궁(1호선2호선 시청역 1번 출구에서 71m)
운영시간 : 09시 ~ 21시(월요일 휴무, 공휴일과 겹칠경우 다음날 휴무)
대표전화 : 02-771-9951

대인(만25세~만64세) ------ 1,000원
만 24세 이하청소년 ------------ 무료
만 65세 이상 어르신 ------------무료
외국인(만 7세~64세) --------1,000원
외국인 만18세 이하 ----------- 무료
외국인 만65세 이상 ------------무료
장애인, 유공자 ------------------ 무료
한복을 착용한 자 --------------무료

덕궁관리소를 클릭하시면 예약사이트로 연결됩니다.

 

추석연휴 가볼만한곳 - 덕수궁

덕수궁은 임진왜란 이후 의주로 피신한 선조가 한양으로 돌아오면서 시작되었는데, 월산대군 저택과 주변 민가를 합쳐 행궁(정릉동 행궁)으로 정하였다. 이후 광해군이 즉위한 후에는 창덕궁으로 자리를 옮겨 경운궁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궁궐의 모습을 하고 있는 덕수궁은 인목의 유실과 인조의 퇴위로 규모가 축소되었는데, 특히 인조가 즉위한 후 이마조당과 석이당을 제외한 나머지는 원소유자에게 반환되었다. 이로써 덕수궁은 더 이상 임금이 공식적으로 머물며 국정에 힘쓰는 궁궐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었다.

덕수궁은 1895년 을미사변이 발생한 이후 역사에 다시 등장하였다. 을미사변으로 위협을 느낀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자리를 옮겼다가 1897년 2월 덕수궁으로 돌아왔다. 또한 대한제국 황제국을 선포한 후 규모와 격식을 갖춘 궁궐이 되었다. 그러나 1904년 덕수궁 대화재와 1907년 고종의 강제 퇴위 이후 덕수궁은 규모가 크게 축소되었다. 당시 명칭은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변경되었다

 

 

 

 

 

 

 

 

반응형